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기초역량과 전문기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해‘3+2 지역대학연계 직업교육 정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3+2 지역대학연계 직업교육 정책’은 특성화고의 3년 직업교육 이후 2년의 연계교육과정을 통해 산업체가 요구하는 숙련된 기능 ․ 기술인을 양성하는 새로운 직업교육 정책이다.
이번에 추진하는 정책은 ▲특성화고 + 전문학교, ▲특성화고 + 전문대학, ▲특성화고(도제교육 2년 포함) + 기업체 근무, ▲특성화고(교육협동조합 2년 포함) + 연계창업으로 4개 모델이다.
‘특성화고 + 전문학교’ 연계교육 모델은 선발된 농업계고 학생들이 졸업 후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에 무시험전형으로 입학하여 총 5년의 연계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는 입시부담 없이 학업에만 열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내용의 누락이나 중복 없이 학습한 후, 진학·취업·승계농·창업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교육과정이다.
‘특성화고 + 전문대학’모델은 정부부처와 관련 기관의 협력체계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유도하고, 지자체 차원에서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회를 운영하여 논의하고 추진한다.
‘특성화고(도제교육 2년 포함) + 기업체 근무’모델은 특성화고졸업 후, 기업체에 근무하면서 전문대학(2년)의 일학습병행 직업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특성화고(교육협동조합 2년 포함) + 연계창업’모델은 재학 중 창업분야 도제식 교육을 진행하고, 졸업 후 교육협동조합에서 창업을 준비하고 실제 창업할 수 있도록 초기 정착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모델이다.
한편, 교육청은 이번 정책을 통해 일·경험·학력·자격이 상호 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교육청 황윤규 미래교육정책과장은“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학생들이 꿈과 끼를 조기 발견하고 직업사회에 종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진학과 취업 연계를 통해 불필요한 스펙 쌓기를 예방하고 기회비용 감소에 기여하는 정책이 되도록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이 5월 13일 도내 버스업계 노동조합 대표자들과 현안이 되고 있는 버스파업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경기도의회 안혜영 부의장(더불어민주당, 수원11)은 지난 12일(일) 수원 케이티위즈파크에서 열린 ‘2019 kt wiz 시민 서포터즈 페스티벌’에참석해 축하의 메시지...
경기도가 미래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e)스포츠 육성을 위해 개최한 ‘월드 이스포츠 챌린지 2019(World esports Challenge. 이하 W.E.C)...
송한준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회장(경기도의회 의장)이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가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해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