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경기티비종합뉴스] 수원특례시 수원박물관,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 특별전 개최

기사입력 2024.08.17 01:47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수원박물관이 ‘송설체’를 만든 조맹부(趙孟頫 1254~1322) 탄생 770주년을 기념해 특별기획전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을 개최한다.

    10월 20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 왕실에서 오랫동안 사랑을 받은 송설체가 유행·변화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 서예사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전시회다.

    [크기변환]1-1. 수원박물관,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 특별전 개최.jpg

    전시는 ▲조맹부 글씨, 서예 교과서가 되다 ▲원나라의 글씨, 고려에 알려지다 ▲송설체, 왕실의 아낌을 받다 ▲안평대군, 송설체 대가로 칭송받다 ▲송설체, 선비들이 즐겨 쓰다 등 5부로 구성된다.

    중국 원나라 때 인물인 송설도인(松雪道人) 조맹부는 중국 동진 시대 인물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한·중·일에서 존중받는 서예가였다. 고려말 충선왕 이후 유입된 조맹부의 글씨는 조선 시대에 확산됐다.

    [크기변환]1-2. 수원박물관,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 특별전 개최.jpg

    조선시대에 서예를 진흥하고자 중앙관서인 교서관에서 ‘법서’(法書)를 간행했는데, 조맹부의 ‘진초천자문’(眞草千字文) 등 9점 가량을 법서로 제작됐다. 법서는 모범이 되는 글씨를 말한다.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안평대군(세종대왕 셋째 아들)은 송설체를 깊이 이해하고 즐겨 썼고, 문종·성종·숙종·영조·정조도 송설체를 아꼈다.

     

    안평대군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진귀한 서화를 수집하고 화원 안견을 후원해 ‘몽유도원도권’(夢遊桃原圖卷)에 친필 발문을 남겼다. 안평대군의 글씨(경오자)는 법서로도 간행돼 서예의 모범이 됐다.

    숙종은 역대 왕 중에서 송설체를 가장 즐겨 썼고, 영조·정조도 송설체를 배운 뒤 자신의 개성을 더해 많은 글씨를 남겼다.

     

    송설체는 성종 대에 이르러 조선 제일의 서체로 극찬을 받았다. 문인들에게 “예쁘고, 부드럽고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굳센 힘이 부족하고 필세의 꺾임이나 변화가 많지 않아 기세가 약하다는 평도 있었다. 왕희지 서풍이 다시 유행하며 조선 최고의 명필가 한호(한석봉)은 ‘석봉체’를 탄생시켰고, 송설체의 명서가였던 성수침, 이황은 왕희지 글씨를 가미해 자신만의 글씨체를 창안하기도 했다.

     

    수원박물관 관계자는 “송설체는 ‘겉으로 보기엔 원만하게 아름다웠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필획은 굳세고 힘차니 참으로 영원히 서법의 바른길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이번 여름, 수원박물관에 방문해 조선 사람들이 매료될 수밖에 없었던 송설체의 진수를 만끽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