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로컬(Local)’의 개념은 지리적 지역성에서 벗어나 지역 경제를 이해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사회적 지역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가 지역의 잠재적 가치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하는 ‘로컬크리에이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로컬크리에이터’란 지역의 특색과 지역성을 살려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업가로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브랜드 구축에 기여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16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경기도 로컬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 조례 제정’을 주제로 2024 정책토론 대축제를 개최했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선희 의원(국민의힘, 용인7)이 좌장을 맡은 이번 토론회는 한광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과 최도인 메타컨설팅 본부장의 주제 발표와 함께 정구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실장, 이규원 경기콘텐츠진흥원 본부장, 노승욱 창톡 대표, 박승현 공존공간 대표가 토론자로 나섰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한광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은 “이전 성장 사회 도시정책에서 현재는 성숙사회의 도시정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라며 “성장 사회가 물질·효율·기능·속도 등 하드웨어 중심의 도시정책이었다면, 성숙사회는 사람·건강·일상·공존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수요자(시민) 우선적인 흐름이 강조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역사회의 자생적 창조 역량 강화를 위한 로컬크리에이터 국정과제를 살펴보면, 문화·관광에만 국한되지 않고 교육·경제·창조 등 여러 방면에서 로컬크리에이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최도인 메타기획컨설팅 본부장은 “‘로컬’은 다양성의 세계를 이루는 문화·경제의 미래”라며 “로컬크리에이터가 로컬 브랜드를 창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경제의 공동 성장을 이끄는 타운 매니지먼트를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정구문 실장은 “로컬크리에이터들이 필요한 것들을 수요조사를 통해 유동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조언했고, 이규원 본부장은 “로컬크리에이터 아카데미를 통해 지역의 혁신가를 육성하고 아이디어를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실질적인 지원책을 강조했다.
노승욱 대표는 “로컬크리에이터라는 정의가 어렵고 생소한 만큼 일상에서 알기 쉽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고, 박승현 대표 역시 “로컬크리에이터가 지역에 공헌하고 성장해서 지역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현장을 대변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라며 로컬의 중요성을 재차 주장했다.
김선희 의원은 “토론회를 통해 로컬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한 행정가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경제·관광·일자리 등 다양한 영역을 포용하고 로컬크리에이터 등록제를 통해 이들을 위한 환경 조성 및 골목상권과 연계할 수 있는 근본적인 경제 활성화 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정부 차원에서도 6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중기부·교육부·행안부·국토부 등을 중심으로 로컬크리에이터에 중점을 둔 다양한 실천 과제들을 수행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 청년의 창업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2020년부터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을 신설해 로컬크리에이터를 발굴·육성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 역시 지방시대 지속가능한 지역 성장을 위해 지난 23년부터 ‘생활권 단위 로컬브랜딩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